본문 바로가기
알쏭달쏭 맞춤법

맞히다 맞추다, 맞춤법 헷갈릴 때 바로 체크하는 법

by _감자_ 2025. 6. 10.
반응형

맞춤법 5초만에 끝내는 간단한 구분법 공개

저도 회사에서 보고서를 쓸 때 "문제를 맞추다"라고 썼다가 동료한테 "그거 맞히다 아닌가요?"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그때서야 "아, 내가 틀렸구나" 하고 깨달았습니다.

 

특히 온라인으로 글을 쓸 때나 중요한 문서를 작성할 때 매번 "이게 맞나?" 하며 인터넷 검색을 해야 했던 기억이 나요. 부끄럽지만 이런 기본적인 맞춤법도 헷갈렸던 게 사실이에요. 혹시 여러분도 저와 같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국립국어원의 공식 설명을 바탕으로 '맞히다'와 '맞추다'를 5초 만에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읽고 나면 더 이상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

핵심 구분법: '적중'이냐 '비교'냐

맞히다 = 적중시키다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로 '문제에 대한 답을 틀리지 않게 하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적중시킨다는 의미죠.

 

맞히다를 쓰는 경우

  • 정답을 맞히다 (답을 적중시키다)
  • 과녁을 맞히다 (활이나 총으로 적중시키다)
  • 예측을 맞히다 (예상이 적중하다)
  • 주사를 맞히다 (침이나 주사로 치료하다)

핵심은 '틀리지 않게 하는 것' 또는 '목표에 닿게 하는 것'이에요.

맞추다 = 비교하거나 조화시키다

'맞추다'는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또는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라는 의미입니다.

 

맞추다를 쓰는 경우

  • 답을 맞추어 보다 (서로 비교해보다)
  • 시간을 맞추다 (기준에 맞게 조정하다)
  • 퍼즐을 맞추다 (조각들을 붙이다)
  • 보조를 맞추다 (조화를 이루다)

핵심은 '서로 비교하는 것' 또는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에요.

실전 예문으로 확실히 구분하기

헷갈리는 상황별 정답

시험 상황

  • "문제를 맞히다" ✓ (정답을 적중시키다)
  • "답안지를 정답과 맞추어 보다" ✓ (서로 비교해보다)

운동 상황

  • "과녁을 맞히다" ✓ (화살이 목표에 적중하다)
  • "호흡을 맞추다" ✓ (서로 조화를 이루다)

일상 상황

  • "예상을 맞히다" ✓ (예측이 적중하다)
  • "시계를 맞추다" ✓ (정확한 시간에 조정하다)

의외죠? 같은 상황이라도 무엇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다른 단어를 써야 해요.

5초 체크법: 간단한 치환 테스트

헷갈릴 때 이렇게 해보세요!

1단계: 문장에서 '맞히다/맞추다' 자리에 '적중시키다'를 넣어보세요.

  • 자연스럽다면 → 맞히다 사용
  • 어색하다면 → 맞추다 사용

2단계: 어색하다면 '비교하다/조정하다'를 넣어보세요.

  • 자연스럽다면 → 맞추다 사용

예시로 확인

  • "문제를 적중시키다" → 자연스러움 → 맞히다
  • "시간을 적중시키다" → 어색함 → "시간을 조정하다" → 자연스러움 → 맞추다

이 방법을 쓰면 정말 5초 안에 구분할 수 있어요!

자주 틀리는 표현 TOP 5

뉴스와이어의 맞춤법 가이드에서도 지적된 자주 틀리는 표현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퀴즈의 답을 맞춰보세요
    퀴즈의 답을 맞혀보세요
  2. 친구와 답을 맞히다
    친구와 답을 맞추다
  3. 예방주사를 맞추다
    예방주사를 맞히다
  4. 손발을 맞히다
    손발을 맞추다
  5. 정답을 맞추다
    정답을 맞히다

저도 이 중에서 1번과 5번을 자주 틀렸었는데, 지금은 자연스럽게 구분하고 있어요.

상황별 실전 활용 가이드

학습/업무 상황

  • 회의 시간을 맞추다 (조정하다)
  • 목표를 맞히다 (달성하다)
  • 계획을 맞추다 (조화시키다)
  • 예산을 맞히다 (정확히 계산하다)

일상 대화

  • "로또 번호 맞혔어!" (적중했어)
  • "약속 시간 맞춰줄게" (조정해줄게)
  • "비 맞혔네" (비에 젖었네)
  • "입맛에 맞춰서 요리했어" (기호에 맞게)

글쓰기 할 때

문맥을 보고 행위의 목적을 생각해보세요.

  • 적중이 목적 → 맞히다
  • 조정이나 비교가 목적 → 맞추다

완벽 정리: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지금까지 '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점을 알아봤어요.

 

핵심만 다시 정리하면

  • 맞히다: 적중시키다, 틀리지 않게 하다
  • 맞추다: 비교하다, 조화시키다, 조정하다

5초 체크법을 활용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 있게 올바른 표현을 쓸 수 있을 거예요.

저처럼 맞춤법 때문에 고민하셨던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제 더 이상 검색하지 마시고, 자신 있게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하세요!